좌장리브 코핀 (Lieve Coppin)
ㅣ 르 꼬르동 블루 대학 호텔관광 및 식품경영 학부 학장 
리브 코핀 학장은 페루 르 꼬르동 블루 대학(Le Cordon Bleu University in Lima) 호텔관광 및 식품경영 학부 학장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기획, 마케팅, 그리고 지역발전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녀는 벨기에 루벤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Leuven)에서 사회∙정치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영국, 베네수엘라, 프랑스, 페루에서 관광 경영 및 홍보 분야의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지난 30년간 남미와 카리브 해 등지에서 정부, 비정부기구, 지역 사회, 민간 부문에 컨설팅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며 미래시장에 필요한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상품을 통해 생태관광과 지역관광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보다 책임감 있는 관광산업의 주류를 이끄는 데 힘쓰고 있다. 현재 그녀는 페루, 스페인, 벨기에의 대학에서 마케팅, 혁신, 관광지 경영과 사회적 책임 부문 박사 과정의 방문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
기조연사나효우 (Hyowoo Na)
ㅣ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 조직위원장 / 착한여행 대표 
나효우 대표는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 조직위원회의 위원장이자, 공정여행 상품과 콘텐츠를 생산하는 사회적 기업 착한여행의 대표이다. 1990년대부터 국제개발협력 관련 활동을 하였으며, 해비타트 국제연합(HABITAT International Coalition)에서 이사직을 역임하고, 한국 시민사회 단체들이 공동으로 필리핀에 설립한 비정부단체 ‘아시안 브릿지(Asian Bridge)’에서 운영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한국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초대 이사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국내외 여행 관련 교육 및 컨설팅을 하며, 여행 칼럼니스트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패널엔버 듀미니 (Enver Duminy) ㅣ 케이프타운 관광청장
엔버 듀미니 관광청장은 웨스턴 케이프대학교(University of the Western Cape)에서 컴퓨터공학과 수리통계학 학사를 취득했으며 현재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경영대학원(Management College of South Africa)에서 MBA 과정 중에 있다. 그는 2010년 1월 케이프타운 관광청의 전무이사로 취임했으며, 2013년 8월 관광청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케이프타운 관광청의 최고 경영자로써,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상호이해적 관계와 혁신을 통한 케이프타운의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번성한 주요 도시이자 떠오르는 관광 목적지인 케이프타운의 아름다운 자연과 흥미로운 역사, 그리고 다양한 문화를 홍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패널지오바니 안드레아 마르티니 (Giovanni Andrea Martini) ㅣ 베니스 자치구 의장
지오바니 마르티니 의장은 문학-예술과학 베네토 연구기관(Veneto Institute of Literature and Arts Sciences)에서 로마 금석학 논문을 발행했으며, 베니스에 위치한 카포스카리 대학(University of Ca 'Foscari)의 고전문학학부 교수로 재직한 바 있다. 2015년 베니스 자치구
의장으로 당선된 그는 관광문제 해결에 대한 다양한 컨퍼런스를 조직하고 참여했고, 2018년 6월 베니스 건축대학 IUAV와 협업하여 베니스를 위한 새로운 형태의 주거공간, 작업공간, 녹지공간을 주제로 한 베니스 까날레 스코멘체라 운하("Scomenzera" canal)지역의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패널이재성 (Jae-sung Rhee) ㅣ 서울관광재단 대표이사
이재성 대표이사는 경희대학교 관광학 박사로 33년간 한국관광공사에서 재임하였으며 관광분야의 풍부한 실무경험과 전문성, 글로벌 감각을 갖춘 관광분야 전문가이다. 서울시 국제회의 산업육성위원회 위원, 문화체육관광부 국제행사 심사위원 등의 위원직을 역임하며 한국관광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힘써 왔고 문화관광부 장관표창, 국민포장 표창 등의 수상으로 이를 인정받았다. 현재 3회째 서울공정관광 국제포럼을 주관하는 서울관광재단을 이끌어가며 가치관광을 통해 공정하고 상생이 가능한 서울을 만들고자 힘쓰고 있다.
패널니코 멀더 (Nico Mulder) ㅣ 암스테르담 관광청 마케팅전략실장
니코 멀더 마케팅전략실장은 암스테르담의 색깔을 뚜렷하게 담은 도시 슬로건 “I Amsterdam”으로 암스테르담시의 도시브랜딩과 홍보마케팅을 성공시킨 주요인물이다. 그는 2009년부터 암스테르담 관광청에서 근무했으며, 현재 마케팅 전략을 담당하고 있다. 그가 맡았던 주요 도시 브랜딩과 마케팅 프로젝트로는 도시의 포용성을 창의적으로 표현한 ‘180 Amsterdammers’가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세계적인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UNWTO의 율리시스 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하였다. 최근 그는 암스테르담을 방문하는 여행자들에게 관광예절 인식을 확산시키는 “즐기고 존중하라(Enjoy & Respect)” 캠페인을 진행하였다. 멀더는 암스테르담 관광의 문화∙관광∙도시 마케팅을 담당하는 한 구성원으로서 관광객과 지역 주민 모두를 위한 관광을 도모하고, 본인이 갖고 있는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뉴욕, 바르셀로나, 카사블랑카, 아테네, 레이캬비크 등 다양한 세계 도시들과 공유하고 있다.
패널세르지 마리 (Sergi Mari) ㅣ 바르셀로나 관광국장
세르지 마리 관광국장은 2017년 바르셀로나 시의회 관광국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바르셀로나 주립대학교(Universitat Autónoma de Barcelona)에서 경제학 및 경영학을 전공하고 바르셀로나 주립대학교와 발레아레스 제도 대학교(Universitat de les Illes Balears)에서 응용경제학과 교수로 재임하였다. 현재는 폼페우 파브라 대학교(Universitat Pompeu Fabra)의 재정경제학과 부교수로 재임 중이기도 하다. 그는 스페인 메노르카 시의회의 경제자문관과 마오 시의회의 검사관직을 역임했고, 15년 간 메노르카 섬의 생물권 보호를 위한 사회환경관측소(Socio-environmental Observatory of Menorca) 이사로 재직한 바 있다.
모더레이터이훈 (Hoon Lee) ㅣ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이훈 교수는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소속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해양수산부, 외교부, 서울시 등의 정책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의정부음악극 축제 총감독과 한양대 관광연구소 소장, 한국관광학회 부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그동안 150여 편의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현재 북촌, 서촌 및 이화벽화마을의 과잉관광 현상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관광지와 관광객의 행복한 공존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힘쓰고 있다.
주제발표임영신(Maria Young-sin Lim)
ㅣ 이매진피스 대표

‘희망을 여행하라’의 저자인 이매진피스 임영신 대표는 문화, 예술, 교육, 시민운동, 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평화를 위해 일하는 단체를 이끌고 있다. 2007년 300여명의 개인여행자들과 공정여행포럼, 공정여행축제등을 조직하며 한국에서 공정여행 운동을 시작했다. 여행자의 행복 뿐 아니라 여행지에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권리를 소중히 여기는 삶을 위한 관광, 지속가능한 도시를 꿈꾼다. 또한 한국 공정무역 마을위 내셔널 코디네이터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제발표리브 코핀 (Lieve Coppin)
ㅣ 르 꼬르동 블루 대학 호텔관광 및 식품경영 학부 학장 
리브 코핀 학장은 페루 르 꼬르동 블루 대학(Le Cordon Bleu University in Lima) 호텔관광 및 식품경영 학부 학장으로 지속가능한 관광, 기획, 마케팅, 그리고 지역발전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녀는 벨기에 루벤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Leuven)에서 사회∙정치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고, 영국, 베네수엘라, 프랑스, 페루에서 관광 경영 및 홍보 분야의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녀는 지난 30년간 남미와 카리브 해 등지에서 정부, 비정부기구, 지역 사회, 민간 부문에 컨설팅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며 미래시장에 필요한 혁신적이고 지속 가능한 상품을 통해 생태관광과 지역관광의 활성화에 기여하고, 보다 책임감 있는 관광산업의 주류를 이끄는 데 힘쓰고 있다. 현재 그녀는 페루, 스페인, 벨기에의 대학에서 마케팅, 혁신, 관광지 경영과 사회적 책임 부문 박사 과정의 방문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다.